AI. 직장을 더 따뜻하게 바꾸다. -2024년도 9월 모의고사 고등학교1학년 23번 [분석, 단어]
오늘은 2024년도 9월 고등학교 1학년 모의고사 23번에 대한 분석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로 시작하는 지문입니다.
AI는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람을 돕는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장애가 있는 직원은 AI 자막이나 보조 기기로 더 쉽게 소통할 수 있고, 저숙련 근로자나 비원어민도 AI 번역과 글쓰기 도구 덕분에 자신감 있게 일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은 AI가 어떻게 노동환경에서 사람들을 돕고 있는지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글 맨 아래쪽에는 본문에 관련된 단어, 직독직해 및 구조 파악에 관련된 내용의 [ 파일 ]이 있습니다.
다운 받아서 프린트 하시면 공부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AI, 직장에서 동료가 되다
예전 직장에서 이런 상상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옆자리 동료가 당신이 놓친 말을 바로 자막으로 보여주고, 영어 회의에서 바로 통역을 해주며, 글쓰기까지 척척 도와준다면요?
이게 바로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직장입니다.
“나도 이제 할 수 있다!”
장애가 있거나 언어가 불편한 분들에게 직장은 때때로 큰 벽처럼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AI 보조 기기와 실시간 자막 시스템은 그 벽을 허물고 있어요. 발음이 어눌해도, 귀가 잘 안 들려도, 이제는 회의에서 당당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시대가 온 겁니다.
저숙련 근로자도 프로처럼
공장이나 카페에서 일하는 분들이 태블릿으로 AI의 지시를 받으며 업무 효율을 높이는 모습, 상상이 되시나요?
“내가 이걸 잘 해낼 수 있을까?”라는 두려움 대신, AI가 주는 작은 힌트와 번역 덕분에 자신감이 생기고 성과도 쑥쑥 올라갑니다.
언어 장벽? 이제 그만!
외국인 근로자나 비원어민에게도 AI는 최고의 동료입니다. 실시간 번역이 회의실에서 흘러나오면, 더 이상 눈치 볼 필요 없이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습니다. “소통”이 진짜 소통이 되는 순간이죠.
글쓰기·코딩·상담까지 척척
요즘은 AI 텍스트 생성기 덕분에 글쓰기나 코딩, 심지어 고객 상담까지도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무슨 말로 시작하지?” 고민할 필요 없이, AI가 옆에서 아이디어를 툭툭 던져주는 거죠.
결론: AI는 직장의 ‘능력치 부스터’
AI는 단순히 일을 대신하는 로봇이 아닙니다.
장애인, 비원어민, 저숙련 근로자까지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들어주는 든든한 동료입니다.
이제 직장은 더 이상 차별과 장벽이 있는 곳이 아니라, 모두가 자신 있게 일할 수 있는 무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무대 뒤에는 언제나 AI가 조용히 빛나고 있죠. ✨
🔎 구조 분석 (한글)
- 첫 단락
- 내용: 인공지능(AI)은 노동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들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직장에서의 포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설명.
- 역할: 글의 서론 부분으로, AI가 사회적 약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
- 둘째 단락
- 내용: 시각·언어·청각 장애를 가진 근로자를 돕는 AI 기반 보조 기기의 확산을 언급. 접근성과 일의 질 향상 강조.
- 역할: 구체적 사례 ① – 장애인 지원.
- 셋째 단락
- 내용: 구체적 예시로, 발음 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한 음성 인식 솔루션과 청각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자막 시스템 설명.
- 역할: 사례 세부 설명 – 동료와의 의사소통, 직무 접근성 개선.
- 넷째 단락
- 내용: 저숙련 노동자의 역량을 강화하여 임금과 경력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설명.
- 역할: 구체적 사례 ② – 저숙련 근로자 지원.
- 다섯째 단락
- 내용: 비원어민을 위해 AI의 실시간 번역 기능이 직장 내 성과를 높여줄 수 있음을 설명.
- 역할: 사례 세부 설명 – 언어 장벽 극복.
- 여섯째 단락
- 내용: 최근의 AI 텍스트 생성기 발전이 저숙련 노동자의 글쓰기, 코딩, 고객 서비스와 같은 분야의 성과를 즉시 개선할 수 있음을 언급.
- 역할: 구체적 사례 ③ – AI 발전이 새로운 차원의 지원 제공.
📌 단락별 키워드
- Accessibility (접근성)
- 뜻: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
- 동의어: availability, approachability, openness
- Inclusiveness (포용성)
- 뜻: 차별 없이 누구나 포함시키는 성질
- 동의어: integration, acceptance, tolerance
- Assistive devices (보조 기기)
- 뜻: 장애인이나 약자를 돕는 장치
- 동의어: supportive tools, adaptive equipment, enabling technology
- Communication (의사소통)
- 뜻: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
- 동의어: interaction, conversation, correspondence
- Capabilities (역량, 능력)
- 뜻: 할 수 있는 힘이나 가능성
- 동의어: abilities, competencies, skills
- Translation (번역, 통역)
- 뜻: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꾸는 행위
- 동의어: interpretation, conversion, transformation
- Text generators (텍스트 생성기)
- 뜻: AI가 글을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시스템
- 동의어: language models, content creators, AI writers
📝 주제문 (영어)
AI can enhance inclusiveness in the workplace by supporting disadvantaged workers through accessibility, communication, and skill improvement.
📖 직독직해
AI can enhance inclusiveness / in the workplace / by supporting disadvantaged workers / through accessibility, communication, and skill improvement.
→ AI는 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직장에서 / 불리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들을 지원함으로써 / 접근성, 의사소통, 그리고 역량 향상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