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2 모의고사 영어 31번] 규제가 기업 혁신을 촉진할 수 있을까?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on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Michael Porter noticed a peculiar pattern: Businesses seemed to be profiting from regulation.
위의 지문으로 시작하는 모의고사 지문입니다.
저희 학생 소사고등학교 2학년 수업대비 자료 중 일부 내용을 포스팅합니다.
글 맨 아래에는 전체 단어정리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하시면 공부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1️⃣ “규제는 나쁜 걸까?”
학생들이 자주 이렇게 묻습니다.
“선생님, 규제가 많으면 기업이 힘들어지는 거 아닌가요?”
하지만 오늘 지문은 그 반대 이야기를 합니다.
‘규제가 오히려 혁신을 일으킨다’,
이건 단순한 경제 논리가 아니라 ‘적응의 힘’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 2️⃣ Story — 네덜란드 튤립 이야기
세계적인 튤립 수출국인 네덜란드는
한때 화학 비료와 농약으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1991년, 네덜란드 정부가 농약 사용 절반 감축 정책을 발표합니다.
기업들은 처음엔 난감했죠.
“이대로는 고품질 꽃을 생산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 위기가 새로운 생각을 낳습니다.
🌱 물을 순환시키는 폐쇄형 재배 시스템(closed-loop system),
🌱 흙 대신 인공 배지인 락울(rock wool substrate) 사용.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환경오염은 줄고,
꽃의 품질과 생산 효율은 오히려 높아졌죠.
규제가 **‘압박’이 아니라 ‘발명 촉진제’**가 된 순간이었습니다.
💡 3️⃣ Insight — 핵심 내용 정리
| 규제(Regulation) | 기업 활동에 제약을 주는 법적·정책적 장치 |
| 혁신(Innovation) |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통해 문제 해결 |
| Michael Porter의 발견 | 규제가 엄격할수록 기업의 창의성과 기술 혁신이 더 촉진됨 |
| Dutch Flower Industry 사례 | 환경 규제 → 새로운 재배 방식 개발 → 오염 감소 + 이익 증가 |
📚 4️⃣ Vocabulary Focus
| peculiar | 독특한, 특이한 | a peculiar pattern (특이한 패턴) |
| regulation | 규제 |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엄격한 환경 규제) |
| prompt | 촉발하다, 자극하다 | regulations prompted innovation |
| contaminate | 오염시키다 | contaminating water and soil |
| substrate | 배지, 기질 | rock wool substrate (락울 배지) |
| circulation | 순환 | water circulates in closed-loop systems |
| profit | 이익을 얻다 | increased profits by better control |
✏️ 5️⃣ Grammar / Structure 포인트
- if절 가정법: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 “만약 품질을 유지하려 한다면”
- 분사구문: Facing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 → “점점 엄격해지는 규제에 직면하여”
- 관계사 that 생략: methods (that) circulate water → 관계대명사 생략 가능 포인트
🧩 1️⃣ if절 (가정법) — 논리적 전환을 이해시키는 장치
📍 문장 예시
if they were go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with fewer pesticides…
“만약 그들이 더 적은 농약으로 품질을 유지하려 한다면…”
📘 왜 중요한가?
이 문장은 단순한 조건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혁신이 시작된 계기’**를 보여주는 논리 전환점이에요.
- 가정법은 **“현실과 다른 가정”**을 표현 → 기업이 어려움에 부딪쳤음을 나타냄
- 즉, ‘규제가 실제로 존재했기 때문에’ →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는 원인-결과 관계를 연결
💡 시험 포인트
가정법 문장은 주로 문단의 논리적 대비나 전환점에 등장하므로,
문법 문제뿐 아니라 빈칸 추론 / 흐름 파악 문제에서도 출제됩니다.
🌱 2️⃣ 분사구문 (Participial Construction) — 문장 간 인과 관계 압축
📍 문장 예시
Facing increasingly strict regulation, greenhouse growers realized…
“점점 엄격해지는 규제에 직면하면서, 재배자들은 깨달았다.”
📘 왜 중요한가?
분사구문은 한 문장 안에 ‘상황 → 행동’ 구조를 압축시켜 표현합니다.
즉, 이 한 문장이
“규제가 강화되었다 → 기업들이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했다”
라는 전체 논리를 ‘짧은 부사구’로 함축시킨 거예요.
💡 시험 포인트
- 분사구문은 인과 관계(원인→결과) 또는 시간 관계(~하면서) 표현에 자주 사용
- 문장 구조를 한눈에 파악해야 문맥 논리를 놓치지 않음
- 특히 고2~수능 수준에서 분사구문이 빈칸 바로 앞 힌트 문장으로 자주 등장
🌼 3️⃣ 관계대명사 that 생략 — 정보 압축의 핵심 구조
📍 문장 예시
methods (that) circulate water in closed-loop systems…
“물을 순환시키는 재배 방식들”
📘 왜 중요한가?
이 부분은 문법적으로 단순하지만, 정보의 밀도를 높이는 핵심 장치예요.
영어는 관계절을 이용해 앞 명사를 자세히 설명하면서도 문장을 간결하게 유지합니다.
- ‘관계사 생략’은 문법적으로는 생략 가능성,
- 하지만 독해에서는 수식 범위 파악의 관건이에요.
💡 시험 포인트
관계사 생략 여부에 따라 수식 대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문법 문제뿐 아니라 지문 해석의 정확도에도 직접 영향.
예를 들어 “methods circulate water”를 문장으로 오해하면
주어-동사 관계를 잘못 해석하게 돼요.
🧠 요약 — “이 세 가지 문법이 왜 중요하냐?”
| if절 (가정법) | 비현실적 상황 가정 | 논리 전환의 신호 (위기 → 대응) |
| 분사구문 | 문장 간 인과·시간 압축 | 이유·배경 설명 연결 |
| 관계사 생략 | 수식 정보의 압축 | 정보 구조 파악 (누가/무엇을 설명하는가) |
결국 이 세 가지는 단순한 문법이 아니라,
👉 글의 논리 구조를 압축하고 전환시키는 핵심 장치입니다.
🧠 6️⃣ 빈칸 추론 핵심 요령
이 지문은 논리 구조가 명확합니다.
“규제는 기업의 자유를 제한한다” → (일반 인식)
“그러나 실제로는 규제가 혁신을 촉진했다” → (반전)
따라서 빈칸에는 ‘innovation’이나 ‘beneficial impact’ 관련 표현이 들어가야 함.
즉,
정답 방향은 “Strict regulation can be beneficial to innovation.”
🌺 7️⃣ 한 줄 메모
이 지문을 읽으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결국 어려움은 우리를 멈추게 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길을 찾게 만드는 신호일지도 모른다.”
학생들에게도 늘 이야기합니다.
공부의 규제, 즉 ‘시간제한·틀린 문제·압박’ 속에서
진짜 성장의 아이디어가 자라납니다. 🌱
* 영어단어 정리파일